안녕하세요. 주휴수당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르바이트나 직장에 근무를 해보신 분이라면 주휴수당이라는 단어를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주휴수당은 법적으로 고용주가 근로자에게 지급해줘야 하는 것으로 근로자라면 정당히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주휴수당을 지키지 않고 고용을 한 고용주들이 있는데요, 주휴수당 계산법에 대해 정확히 알고 정당하게 주휴수당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주휴수당 이란?
먼저 주휴수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휴수당이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게 일주일 1회 유급휴일을 주어야 한다고 명시 되어 있습니다.
주휴일에대한 하루 치 임금을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하는데 이것을 바로 주휴수당이라고 합니다.
주휴수당은 아르바이트, 정규직, 계약직 어떠한 형태의 근로이던 상관 없이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를 한 근로자라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계산법은 1일 소정의 근로시간 X 시간당 급여 입니다.
1일 평균 근로시간과 시급을 곱해서 계산을 하시면 됩니다.
시급이나 근로시간에 따라 계산 된 금액은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계산은 시급 X 하루 근로시간을 하시면 됩니다.
단, 일주일에 최소 15시간 이상 근로를 해야 합니다.
주휴수당 미지급
주휴수당을 미지급 하게 되면 임금 체불로 근로법상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자는 주휴수당을 포함해 임금을 받지 못하게 되면 노동부에 임금체불 신고를 하여 임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주휴수당 계산법 및 지급기준, 미지급 시 대처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어릴 때 아르바이트를 할때는 주휴수당 개념을 모르고 그냥 시급을 받았던 기억이 있는데 요즘은 근로 기준법이 많이 강화가 돼서 지급을 못 받을 경우 법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니 꼭 주휴수당을 챙겨 받으시기 바랍니다.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Z세대 뜻 (0) | 2021.08.06 |
---|---|
20대 코로나 백신 접종 예약 (0) | 2021.08.06 |
모더나 심근염 증상 (0) | 2021.08.03 |
식중독 증상 (0) | 2021.08.02 |
MBTI 궁합 유형 확인하기 (0) | 2021.08.01 |